
'방송채널사업자(PP) 정책간담회' 사진 (더불어민주당 이훈기 의원실 제공)
[입법정책뉴스] 더불어민주당 중앙선거대책위원회 방송·콘텐츠위원회가 22일 오후 2시, 국회의원회관에서에서 '방송채널사업자(PP) 정책간담회'를 개최했다.
간담회에는 특위에서 방송·콘텐츠위원회 이훈기 위원장과 안정상 총괄기획분과장, 이상원 미디어콘텐츠진흥분과장과 분과위원들이 참석하였으며, 방송채널 사업자측에서는 (사)한국방송채널진흥협회와 한국방송채널사용사업협회, CJ ENM, EBS미디어(주), 서울에스티비(주), 에이플티비(주) 등이 대거 참석했다.
방송·콘텐츠위 미디어콘텐츠진흥분과 주관으로 여는 이날 간담회는 이훈기 위원장이 평소 의정활동의 기치로 내걸었던 방송 산업 생태계 전반의 균형 있는 회복과 공공성 강화를 위해 기획한 릴레이 정책간담회 시리즈의 일환이다.
간담회에서는 최근 OTT 플랫폼의 성장과 미디어 소비행태 변화, 광고 시장 위축 등 방송환경의 급격한 변화에 따라 상대적 어려움을 겪고 있는 다양한 방송채널 사업자들의 형편은 물론 시청자의 다양한 욕구 충족과 미디어 산업 균형 발전을 위한 제도적 지원 방안 등을 논의했다.
특히 플랫폼 사업자와의 협상 불균형, 전문 콘텐츠 제작을 위한 투자 부담, 온라인 플랫폼으로의 콘텐츠 확장 과정에서의 제도적 장벽 등 다양한 구조적 과제에 직면해 있는 사업자들의 애로사항을 청취했다.
간담회에서 백승일 한국방송채널진흥협회 회장은 "유튜브와 OTT가 광고 시장을 지배하고 있다"라며, "우리는 굉장한 위기의식을 느끼기 때문에 모두가 규제 개선을 요구한다"라고 말했다.
한국방송채널사용사업혐회 안승현 회장은 "전세계가 K-콘텐츠에 관심이 큰데 글로벌 콘텐츠가 탄생하려면 내수시장부터 안정되어야 한다"라며, "우리나라엔 내수시장을 위한 기저시스템이 없다"라고 지적했다.
CJ ENM 김정한 부사장은 "요즘 AI 열풍이 불고 있다. 미디어 콘텐츠에서도 AI 콘텐츠를 만드는데 있어서 지원 제도를 마련해야 한다"라며, "초기 단계이지만 기존 콘첸츠의 스핀오프를 AI로 만드는 연구도 되고 있고 전반적으로 미디어 콘텐츠의 AI 활용방안에 대해서 정부가 관심을 가졌으면 좋겠다"라고 밝혔다.
EBS미디어 박성호 대표이사는 "PP산업은 우리 방송의 한 축"이라고 전제하고 "하지만 수익구조가 매우 취약하다”라며 “플랫폼과의 수신료 협상에서도 협상력이 낮아 적당한 대가를 받지 못하고 있다"라고 전했다.
또 정부가 지원해 주어야 할 일로 "메타버스나 인터액티브 같은 차세대 콘텐츠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지만, 대응하기 어려운 한계를 가지고 있다"라며, "방송채널사업자를 지원하는 디지털 전환 센터를 지원해 줄 것"을 요청했다.
서울에스티비 안희선 대표이사는 "방송채널사업자의 가장 큰 문제는 수익구조"라며, "수신료는 한정적이고 광고가 수익인데 내수 시장이 완전히 위축돼서 광고로 재원을 충당하기 어렵다"라고 밝혔다.
에이플티브이 김종선 대표이사는 "가장 문제가 자체 아이피를 확보하지 못한 상태에서 글로벌진출은 꿈도 못 꾼다는 점"이라며, "국내 경기 위축으로 중소 PP는 지금 거의 먹고 사는 문제가 위험해지는 위기의식을 느끼고 있다"라고 말했다.
이에 대해 이훈기 더불어민주당 방송·콘텐츠 위원장은 "매우 실질적인 이야기를 들을 수 있었다"라며, "오늘 이야기를 새 정부 제안서에도 잘 담아서 실행을 담보할 수 있게 하겠다"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입법정책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