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입법정책뉴스자] 국회미래연구원은 25일 연구보고서 '가상융합 산업정책 개선방안: AI 전환과 가치이동을 중심으로'를 발간했다. 보고서는 가상융합 산업이 거품론 논란과 동시에 AI 전환이라는 새로운 변곡점을 맞고 있다고 분석하며, 정책 재설계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가상융합 시장 규모는 2024년 1,097억 달러에서 2030년 약 9,861억 달러로 성장할 전망이며, 연평균 성장률은 약 43.4%에 달한다. 하지만 국내 VR·AR 산업은 2023년 매출이 전년 대비 33.5% 감소하고 수출액은 67% 급감하는 등 거품 논란이 제기되고 있다.
사용자들이 가상융합 세계를 찾지 않는 이유로 보고서는 기술·경험·경제 간 불균형을 지적했다. 실제 사례로, 세계 최초 공공 메타버스 플랫폼 '메타버스 서울'은 2022년 혁신성을 인정받았음에도 2024년 서비스를 종료했고, '버추얼 강원' 역시 출시 두 달 만에 종료됐다. 설문조사에서는 응답자의 89.2%가 메타버스 사업을 "세금낭비 사례"라고 평가했다.
반면 AI의 발전은 가상융합 산업의 구조적 변화를 촉발하고 있다. 자연어 입력만으로 가상환경을 생성할 수 있는 기술이 등장하면서, '아바타-AI 에이전트' 상호작용과 'AI 에이전트 간 자율 상호작용'이 가능해졌다. 엔비디아의 '라떼 3D', 구글 딥마인드 '지니', 알테라 '프로젝트 시드' 사례가 보고서에 소개됐다.
보고서는 산업 가치 이동 현상도 분석했다. B2C 영역에서는 승자독식 구조가 심화되고 있으며, 글로벌 플랫폼인 포트나이트와 로블록스는 지속 성장 중이다. 포트나이트 가상 콘서트 '리믹스: 더 피날레'는 1,400만 관객을 기록했고, 로블록스 창작자 수익은 9억 2,300만 달러로 전년 대비 25% 증가했다.
B2B 영역에서는 가상융합 공간이 기계 학습과 훈련의 장으로 재정의되고 있다. 구글 웨이모는 '시뮬레이션 시티'에서 160억 마일의 가상주행을 실시했고, 폭스콘은 가상공간에서 공정 설계와 시뮬레이션을 통해 최적 공장 조건을 구현했다. B2B 시장은 기업의 대규모 투자와 기술 도입으로 안정적이며, 물리적 실험 비용 절감이라는 명확한 경제적 가치를 제공하고 있다.
보고서는 가상융합 산업 정책 개선 방안으로 ▲AI 기반 정책 패러다임 전환, ▲B2C에서 B2B 중심 정책 재설계, ▲AI 융합 특수목적형 플랫폼 구축과 정책 거버넌스 재설계를 제시했다. 구체적으로 AI 분석 결과를 가상융합 공간에서 시각화·검증하고, 재난, 산업안전, 의료 등 특수목적 분야에 활용할 것을 권고했다.
이승환 연구위원은 "가상융합 세계는 아바타의 놀이터에서 모든 기계의 학습 공간으로 진화하고 있다"며, "거품론과 AI 전환이라는 이중적 도전 속에서 정책 재설계를 통해 혁신 기회를 찾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특히 "로봇 밀도 1위인 한국의 제조 경쟁력 강화를 위해 가상융합 공간을 전략적으로 활용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입법정책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