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법정책뉴스] 경기도가 시내버스 운영 품질 향상을 위해 '공공관리제 버스 표준모델' 마련에 속도를 내고 있다.
경기연구원은 최근 발간한 '경기도 공공관리제 버스 표준모델 수립 및 적용방안' 보고서를 통해 도민 950명과 운수종사자 310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 결과를 공개하며, 이용자 편의성과 차량 안전성을 동시에 강화하는 방향을 제시했다.
조사 결과, 이용자들은 하차 벨 설치 위치로 '기둥과 벽면을 균형 있게 설치'(43.1%)할 것을 선호했으며, 하차 안내는 '차내 전광판과 불빛을 동시에 표시'(58.6%)하는 방식을 가장 많이 선택했다.
또한 차내 바닥 평탄화(46.5%), 기댈 수 있는 시설 설치(68.7%), 유아차 탑승 공간 확보(52.2%)에 대한 수요가 높았다. 반면, 햇빛 차단 기능에 대한 불만족도는 46.3%로 나타나 쾌적성 개선 필요성이 드러났다.
경기도 공공관리제는 경기도, 시군, 경기도버스운송조합이 공동으로 추진하는 제도로 2024년부터 단계적 시행, 2027년 완료를 목표로 한다. 도입 차량의 표준화와 서비스 품질 제고, 운영 효율화가 핵심이며, 이를 위해 경기연구원과 경기도, 경기교통공사, 버스운송업체, 국내 전기버스 제조사 등으로 구성된 TF가 지난 3월 출범했다.
TF는 설문조사와 기술 검토 결과를 바탕으로 ▲차량 안전성 ▲이용자 편의성 ▲운영 효율화 등 세 분야에서 구체적 개선 과제를 도출했다.
특히 7대 핵심정책을 선정해 경기도형 공공관리제 버스의 안전성과 편의성 강화에 집중한다. 7대 핵심정책에는 ▲배터리 화재 지연 시스템 ▲출입문 안전장치 ▲퓨즈 박스 설치 기준 강화 ▲차내 전광판 표준화 ▲휠체어 고정장치 및 보관함 표준화 ▲단말기 승차 안내 방송 ▲운전기사·차량 스마트 관리 시스템 구축 등이 포함됐다.
김채만 경기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현재 기술 적용이 어려운 부분도 있지만, 장기적으로 버스 안전과 편의 향상을 위해 점진적으로 적용할 계획"이라며 "지자체와 버스 제조사 간 협력 모델을 구축해 발전된 기술을 신속히 반영하는 것이 핵심 목표"라고 말했다.
이번 표준모델은 향후 공공관리제 시범사업에 적용돼 경기도 시내버스 서비스 품질을 균일화하고, 안전하고 편리한 대중교통 환경 조성에 기여할 전망이다.
[저작권자ⓒ 입법정책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