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입법정책뉴스] 충청북도교육청은 11일 (가칭)충북교육청 한국어학교 설립‧운영 모델 개발 연구에 대한 정책연구용역 착수보고회를 개최했다.
이날 보고회는 이주배경학생의 학습권을 보장하고, 공교육 내 안정적인 적응과 성장을 돕기 위해 충북형 한국어학교 모델을 체계적으로 개발하고자 추진됐다.
이번 연구용역은 오는 12월까지 약 7개월 간 배재대학교 산학협력단이 수행한다.
보고회는 교육국장, 유초등교육과장, 국제교육원장, 도내 대학 교수, 현직 교사 등 외부 전문가 20여 명이 참석했다.
충북형 한국어학교는 본교를 청주에 두고, 초등 3학년 이상 중학생을 대상으로, 한국어 집중교육과 국어‧영어‧수학‧사회 등 기초교과를 함께 운영하는 무학년제 교육과정 기반의 각종학교 형태로 설립될 예정이다.
도교육청은 올해 말까지 연구용역을 완료하고, 2026년에는 한국어교육 특화 공간 및 교육 인프라를 구축한다는 계획이다. 또, 2027년에는 교직원 선발 및 학생모집을 거쳐, 2028년 3월 개교를 목표로 하고 있다.
충북교육청 손희순 교육국장은 "충북형 한국어학교는 단순한 언어교육 기관이 아닌 이주배경학생이 학력과 정체성을 함께 회복하고, 미래를 설계할 수 있는 교육 공간이 될 것"이라며, "현장과 전문가 의견을 바탕으로 격차 해소에 기여하고 지역 특성에 맞는 모델을 만들어가겠다"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입법정책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