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법정책뉴스] 대전시의회가 최근 개최한 '이미용 서비스 강화 방안 모색 정책토론회'는 단순한 직업군의 처우 논의에 그치지 않는다. 미용 산업이 시민의 삶의 질과 직결되고, 동시에 지역 서비스 산업 경쟁력을 좌우하는 중요한 영역이라는 점에서 시사하는 바가 크다.
토론회에서는 소비자 보호와 서비스 질 표준화가 핵심 과제로 제시됐다. 현행 제도에서는 자격증 취득만으로 곧바로 창업이 가능해 소비자 피해 발생 소지가 크다는 지적이 이어졌다. 관리·감독 체계가 느슨한 상황에서 대전시 차원에서 어떤 관리·지원 장치를 마련할지가 향후 과제다.
특히 주목할 대목은 신규 미용사 지원 문제다. 실무 경험 부족으로 창업 이후 어려움을 겪는 경우가 많고, 이는 산업 전반의 경쟁력 저하로 이어진다. 실무 교육 기회 확대, 고객 응대 역량 강화, 교육 과정 내 실습 비중 확대 등이 대안으로 제시됐지만, 이를 실제 제도화할 수 있을지가 관건이다.
과거 생계형 직업으로 인식되던 미용은 이제 '사람의 가치를 빛내는 전문직'으로 변화했다는 점에서, 지역 산업 차원에서 정책적으로 접근할 필요성이 커지고 있다. 단순한 직업훈련 지원이 아닌, 고용 안정과 서비스 질 제고, 소비자 신뢰 회복을 위한 종합 대책이 요구된다.
박주화 의원이 강조했듯, 이번 토론회가 단순 담론에 머무르지 않고 실제 정책으로 이어질지가 핵심이다. 대전시와 시의회가 제도적 기반을 마련할 경우, 이는 지역 미용 산업의 체질 개선과 시민 서비스 만족도 제고로 직결될 수 있다. 그러나 업계 현실과 행정적 여건을 고려한 세밀한 실행 전략이 뒷받침되지 않는다면 공허한 논의로 끝날 위험도 남아 있다.
박 의원은 "오늘 논의가 담론에 그치지 않고 실제 현장 변화를 이끌어낼 수 있도록 제도 개선에 힘쓰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입법정책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