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입법정책뉴스] 세종특별자치시의회 청소년 선진정책 도입을 위한 연구모임이 25일 청소년이 직접 기획하고 운영하는 프로젝트 사례를 참고하기 위해 광주광역시 광주청소년삶디자인센터(이하 삶디)를 찾았다.
연구모임 의원들은 목공방, 살림공방, 열린 책방, 미니극장, '랄랄라 홀' 등 센터 내 다양한 공간을 둘러보며 청소년 참여 방식과 운영 현황을 직접 청취했다. 특히 'N개의 방과후 프로젝트' 쇼케이스와 결과 공유회 사례를 접하며, 청소년 활동의 주체성과 자립성이 크게 강화된 점에 공감했다.
삶디는 단순 체험 공간을 넘어 청소년이 기획, 실행, 발표 전 과정을 주도하는 프로젝트형 활동을 꾸준히 운영해 온 기관이다. 시설 설계와 운영 과정에도 청소년 의견이 적극 반영되며, '청소년 주도 프로젝트 결과공유회'는 학생들이 스스로 주제를 정하고 시민과 소통하는 모범 사례로 평가받는다.
박형주 광주청소년삶디자인센터장은 "청소년 주도 프로젝트 운영 경험과 교육청 간 협력이 중요하다"며 "청소년이 직접 기획하고 운영하는 과정에서 자율성과 역량을 강화하도록 프로그램과 제도적 지원을 확대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연구모임은 이번 벤치마킹에서 얻은 경험을 세종시 청소년 정책 수립에 적극 참고할 계획이며, 청소년 주도 운영 요소 확대와 프로그램 기획 단계에서의 참여 보장 방안도 정책 과제로 제안할 예정이다.
이순열 대표의원은 "삶디에서 확인한 청소년의 자율적 참여와 주도 운영은 단순 체험을 넘어 세종 청소년이 스스로 성장할 수 있는 제도적 기반을 보여주었다"며, "세종에서도 이 모델을 적극 수용해 청소년 정책의 실질적 변화를 만들어 가겠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입법정책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