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정책 분석] 경제자유구역 지정 '의정부'…첨단산업 미래도시로 '대전환'

이정훈 기자

chammedia7@naver.com | 2025-04-30 18:01:31

반환 공여지 활용, 첨단산업 거점으로 탈바꿈
AI·바이오·미디어 산업 중심 '미래형 도시' 구상
규제의 굴레서 벗어나 경기북부 경제 중심 도약

의정부시청 전경

[입법정책뉴스] 경기도 의정부시가 반환 공여지를 활용해 첨단산업 중심의 경제자유구역으로 탈바꿈을 준비하며 경기북부 경제의 새로운 전환점을 예고하고 있다.

김동근 의정부시장은 30일 자신의 SNS를 통해 "경제자유구역은 시민 삶의 질을 끌어올릴 결정적 전환점"이라며, 첨단산업 거점 조성을 통해 단순한 베드타운 이미지를 넘어서는 도시 혁신 의지를 밝혔다.

경제자유구역은 외국인 투자 유치와 첨단산업 육성을 위해 지정되는 특별구역으로, 국세·지방세 감면, 규제 완화, 인프라 확충 등 다양한 혜택이 주어진다.

의정부시는 그동안 수도권 규제와 군사 규제라는 이중 부담 속에서 산업 기반 확장이 어려웠으나, 반환된 미군 공여지를 활용해 AI, 바이오메디컬, 미디어 등 고부가가치 산업 중심지로 탈바꿈할 계획이다.

이번 후보지로는 가능동 CRC 부지와 금오동 캠프카일 부지가 포함되며, 미반환 상태인 캠프잭슨과 캠프스탠리까지 반환이 완료되는 대로 추가 지정을 추진할 예정이다.

이를 통해 단순 제조업을 넘어 고부가가치 산업을 유치하고, 청년층과 전문 인력 유입으로 양질의 일자리를 창출하며, 도로·철도·의료 등 도시 인프라 확충까지 병행한다는 구상이다.

특히 의정부시는 경기북부 첨단산업 생태계 구축을 목표로, 경원선 축을 중심으로 연구개발(R&D), 스타트업 지원, 산학 협력 등 혁신적 산업 구조 개편에 나선다.

김 시장은 "첨단기업 유입은 단순한 산업 변화가 아니라, 시민 소득과 교육·문화 수준까지 향상시키는 도시혁신으로 이어진다"고 강조했다.

민선 8기 이후 의정부시는 전담팀 구성, 타당성 조사, 전략 입지 분석, 기업 유치 설명회, 산학협력 등 다각적 준비를 통해 경제자유구역 지정 요건을 충족했다.

김 시장은 "오랜 희생의 시간을 미래 희망으로 바꾸는 계기가 될 것"이라며 "시민들의 지지와 참여가 가장 큰 힘"이라고 밝혔다.

이번 경제자유구역 지정은 의정부가 군사도시라는 틀을 벗고, 첨단산업과 생태문화가 공존하는 미래형 도시로 나아가는 본격 신호탄으로 평가된다.

[ⓒ 입법정책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WEEKLY HO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