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석] 대전 다문화 학생 정책 토론회, '지원에서 성장으로' 방향 전환 필요
이교육 기자
kuyes2015@naver.com | 2025-08-26 17:50:49
[입법정책뉴스] 대전시의회 교육위원회가 26일 시의회 소통실에서 개최한 '다문화 사회 미래전략 방안 모색 정책토론회'는 급격히 증가하는 다문화 학생을 지원하는 정책 방향을 점검하고, 미래 사회 인재 육성을 위한 종합적 대안 모색을 위한 자리로 마련됐다.
이번 토론회는 교육위원회와 (사)국제다문화미래전략진흥원이 공동 주관했다.
김한수 전 배재대 산학부총장은 발제를 통해 다문화 학생을 단순한 지원 대상으로 보지 말고, 다언어 능력과 복합적 사고를 갖춘 글로벌 인재로 바라봐야 한다고 강조했다. 특히 예체능 활동과 IB(International Baccalaureate) 교육과정이 언어 장벽을 넘어 이해와 존중을 높이고, 비판적 사고와 국제적 감각을 키우는 효과적 방법임을 제시했다.
토론에서는 심리적·정서적 지원, 초기 정착 지원에서 자녀의 미래를 바라보는 장기적 정책 필요성, 외국인 유학생 취업 및 비자 문제 등 다양한 현안이 논의됐다.
김미정 사무국장은 다문화 가정의 심리적 어려움이 자녀 세대로 이어질 수 있음을 지적했고, 이미옥 행정사는 우수 유학생의 해외 유출 문제를 강조했다. 또한 정지선 대표는 유학생 아르바이트 시 발생하는 비자 관련 문제와 교육 필요성을 제기했다.
이번 토론회에서 드러난 핵심 과제는 ▲심리·정서적 지원 강화 ▲교육과정 통한 글로벌 역량 개발 ▲취업 및 현장 연계 강화 ▲지자체-교육청 간 역할 조정으로 요약된다. 단순한 지원 중심 정책에서 벗어나, 다문화 학생이 글로벌 인재로 성장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는 종합적·맞춤형 접근이 필요하다.
김민숙 의원은 토론회 종료 후 "다문화 학생들의 잠재력과 가능성을 재조명했다"며 "글로벌 인재로 성장할 수 있는 교육 환경 조성을 위해 정책적 노력을 지속하겠다"고 밝혔다. 현장의 문제와 제안이 실제 정책과 제도에 반영될지 여부가 앞으로의 정책 실효성을 좌우할 전망이다.
[ⓒ 입법정책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