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석] 충북 청년 정주여건 토론회, 현장 목소리서 정책 과제 도출
김승현 기자
newsedu2020@naver.com | 2025-08-27 16:17:06
[입법정책뉴스] 충북도의회 정책복지위원회가 27일 청주시 청년카페점프스테이션에서 '충북 청년 인구 정주여건 개선 방안' 정책토론회를 열고, 청년의 정착 지원과 정주여건 개선을 위한 다각적 논의를 진행했다.
이번 토론회는 청년들의 다양한 목소리를 직접 청취하고 실질적 정책 방안을 모색하는 자리로 마련됐다.
주거 분야에서 전문가들은 "청년이 머물고 싶은 주거환경 조성"을 최우선 과제로 꼽았다. 문보현 바이오플랜 미래전략실 팀장은 산업단지 연계형 기숙사와 커뮤니티 기반 주거 공급을 제안했고, 윤지현 1인가구청년모임 대표는 안전·매력·신뢰 세 가지 가치 중심의 주거 정책 필요성을 강조했다.
일자리 분야에서는 안정적 취업과 장기 인턴십, 지역 산업 맞춤형 직무훈련이 핵심 과제로 논의됐다. 김병기 충북청년도정참여단 대표는 청년친화기업 인증제 등 지속 가능한 일자리 구조 마련이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 창업·농업·문화·육아 분야의 다층적 과제
창업 분야에서는 기존 창업자 중심 정책을 넘어 청년 주도의 지속 가능한 창업 환경 조성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나왔다. 농업 분야에서는 30대 후반~40대 청년 배제 문제, 농지 확보 및 공동체 연계 부족 등이 지적됐다. 문화 분야 전문가들은 청년이 기획자·운영자·의사결정자로 참여할 수 있는 환경 조성을 강조했고, 육아·의료 분야에서는 청년 부모 지원과 지역 돌봄 공동체 구축의 필요성이 제기됐다.
이번 토론회를 통해 드러난 핵심 과제는 ▲주거 환경 개선 ▲안정적 일자리 확보 ▲청년 창업 지원 강화 ▲농업·문화·육아 분야 맞춤형 지원 등으로 정리된다. 특히 정책별 청년 나이 기준 차이, 지역 격차, 실무적 실행력 부족 등 구조적 문제를 해결하지 않으면 단기적 지원에 그칠 우려가 있다.
좌장을 맡은 이동우 의원은 "청년이 머물고 싶은 충북을 만들기 위해 입법·정책적 대응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번 토론회는 현장 의견을 기반으로 한 맞춤형·통합적 정책 설계의 필요성을 분명히 보여주었으며, 실제 도정 반영 여부가 정책 효과를 좌우할 전망이다.
[ⓒ 입법정책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